유보율이 높은 기업/좋은 기업? (feat.씨에스윈드,소리바다,삼성전자)

유보율이 높은 기업/좋은 기업? (feat.씨에스윈드,소리바다,삼성전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보율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기업의 이익잉여금(영업활동 등의 이익창출활동을 통해 획득한 이익)과 자본잉여금(자본거래를 통해 획득한 이익)을 합한 전체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다. 두산백과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보율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기업의 이익잉여금(영업활동 등의 이익창출활동을 통해 획득한 이익)과 자본잉여금(자본거래를 통해 획득한 이익)을 합한 전체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다. 두산백과

제 관심 종목에서 유보율을 찾아볼게요.다음은 풍력발전 제조 및 설비 관련 회사인 CS윈드의 유보율입니다.

자본금에 비해 약 40배의 돈을 비축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해마다 유보율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벌어서 보관(?)하고 있군요. 전에 책에서 유보율은 보통 1000% 이상이면 재무적으로 안전한(?) 기업이라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 이는 유보율 하나만으로 기업의 모든 것을 판단할 수 없고 단순 참고 수치로만 생각하면 됩니다.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도 한번 보면 아무래도 돈을 못 버는 회사가 아닙니다.

비교를 해보기 위해 관리종목 기업 중 유보율을 봅니다. 네이버 증권에서 관리종목 메뉴에 들어가서 찾아봤어요.현재 거래 정지 중인 소리바다 재무제표입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미 자본금을 소진한 상태입니다. 이런 기업은 정말 조심해야 합니다. 테마에 휩쓸려 소리바다 같은 종목을 선택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유보율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일까? 유보율이 높으면 현금이 필요한 시점에 시기적으로 투자도 할 수 있고, 배당을 늘리거나 자사주를 매입하는 등 호재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보율이 매년 높아진다는 것은 기업들이 현금을 쌓아두고 투자를 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삼성전자의 2021년 유보율은 33,143.62%입니다. 대단하죠. 하지만 돈이 많은 기업일수록 투자를 해서 회사가 성장해야 주가에도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투자를 한다는 기사가 나오면 주가가 오르는 기업을 볼 수 있듯이 기업은 투자를 해서 돈을 잘 벌어야 합니다.

정리해볼게요.유보율이 높은 기업은 돈을 많이 모으고 있는 기업이기 때문에 재무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돈을 쌓아 투자를 하지 않는 회사는 긍정적으로 해석되지 않습니다.(추린이가 공부한 내용 기록용으로 참고하세요.)

정리해볼게요.유보율이 높은 기업은 돈을 많이 모으고 있는 기업이기 때문에 재무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돈을 쌓아 투자를 하지 않는 회사는 긍정적으로 해석되지 않습니다.(추린이가 공부한 내용 기록용으로 참고하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